먼저 free 명령어에 의한 출력결과로 메모리 사용량을 분석하면 아래와 같다.
[root@hojung931:Active] config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80696 325192 55504 0 5588 161080
-/+ buffers/cache: 158524 222172
Swap: 2314956 0 2314956
전체 메모리는 total 380696 이며, 사용된 메모리는325192이나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free)는55504 가 아닌 free+buffers+cached (55504 + 5588 + 161080 =) 222172이다. Mem: 행에서 used 수치는 리눅스 운영체제 입장에서 바라본 사용 메모리 수치이다. Beffers와 cached의 수치는 리눅스의 효율적인사용을 위하여 전체 메모리에서 미리 buffers+caches 값을 자동으로 할당한 후 app 에서 메모리가 필요할 경우 cached에 할당한 메모리를 자동으로 반환한다.
- Swap메모리의 현황에 대한 설명
Swap행의 total은 시스템의 전체 Swap메모리의 량을 표시한다.
Swap행의 used는 전체 스왑메모리에서 현재 사용중인 스왑메모리의 량이다.
Swap행의 free는 전체 스왑메모리중에서 사용되지 않고 남아 있는 메모리의 량이다.
top 명령의 결과는 위 free와 동일하다. 아래의 결과는 시간차를 두고 실행된 것이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root@hojung931:Active] config # top
11:41:02 up 2:36, 4 users, load average: 1.00, 1.00, 0.96
96 processes: 95 sleeping, 1 running, 0 zombie, 0 stopped
CPU states: cpu user nice system irq softirq iowait idle
total 70.6% 0.0% 29.3% 0.0% 0.0% 0.0% 0.0%
Mem: 380696k av, 325184k used, 55512k free, 0k shrd, 5588k buff
239104k active, 48916k inactive
Swap: 2314956k av, 0k used, 2314956k free 161080k cached